전체 글(145)
-
AI 마인드 맵 도구
https://whimsical.com/ Whimsical - The iterative workspace for product teamsAlign on your next build faster with Whimsical docs, flowcharts, wireframes, & mind maps. Generate AI diagrams and access templates from product leaders.whimsical.com https://mapify.so/ Mapify: Transform anything to mind maps by AI, formerly ChatmindSummarize anything into a clear, structured mind map. Simplify complexi..
2024.10.24 -
Text Complexity 와 언어학습자의 관계 연구
이 논문은 학업 언어의 특성을 상세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ELs와 LMs를 포함한 모든 학생들의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1. 배경과 문제 제기: - Common Core State Standards(CCSS)의 도입으로 더 복잡한 텍스트 이해가 요구됨 - 이는 영어 학습자(ELs)와 언어 소수자 학생들(LMs)에게 특히 큰 도전이 될 수 있음 - 현재 많은 교육자들이 이 학생들을 어떻게 도와야 할지 우려하고 있음 - 저자들은 현재의 교육 접근법이 언어 자체의 역할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 2. 학업 언어(Academic Language)의 특성: - 일상 대화와는 다른 어휘, 문법 구조, 아이디어 프레이밍 방식을 가짐 ..
2024.10.17 -
AI 논쟁 수업 - 1st Article
2023년, 타임지에서 오픈AI 발전을 위해 케냐의 노동자들이 어떤 고초를 겪고 있는지에 대한 기사를 접했을 때, 기술 발전에서 이런 이슈를 모른척 하지 않도록 수업에서 다루어보고 싶었다. 작년에는 진로영어를 하느라 다룰 기회가 없었고, 올해는 새 학교에서 동료와 협의도 쉽지 않고, 주당 2시간인 내 수업에서 교과서 외 지문을 다룰 시간적 여유가 부족해서 엄두를 못 내고 있던 차에, 국어과 선생님과 IB 교학공에서 수업 계획을 나누다가 죽이 맞아 융합수업을 설계하기로 했다. 논제를 정하고 자료를 찾으며 주장을 다듬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데 그 과정을 두 과목에서 함께 진행하면 서로의 시간을 줄여주면서 두 언어로 사고하고 표현하는 과정에서 더 풍부한 배움이 일어나지 않을까 기대한다. 국어 시간에 [주장..
2024.09.22 -
경북 연수 후기
일기장을 뒤지다 발견한 글.이 분이 나를 좋은 사람으로 살고싶게 만든다. 다시 보고 싶은 분.2021년 YBM 대구 연수. 기대하지 않았던 집합 연수에서 장은경 선생님을 만나고. 나는 내가 우리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교직 생활의 굳은 살을 만들어가는 지난 시간동안 나의 원래 생긴 모양을 많이 잃고, 또 나도 모르게 많은 상처를 받아 회의적인 사람이 되었음을 자각하게 되었다. 영어는 나에게 물고기가 아니라 물고기를 잡는 법이었다. 네 번의 대학 입시에서의 실패, 윤리학을 가르치는 사람들의 비윤리성에 대한 실망감 그런 모든것들로부터 영어는 나를 자유롭게 해 주었다. 그래서 나에게 영어를 배운 많은 아이들도 영어를 통해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를 스스로 터득하고 각자의 물고기를 잡을 수 있도록 가르..
2024.09.20 -
주관적 안녕감
가끔 나는 내 폰이 무서운데, 내가 검색한 적도 없이 생각만 하고 있는 주제의 영상을 툭툭 던진다. 아침에 다른 영상 틀어놓고 세수하다가 이 영상이 나와서 세수를 멈추고 폰을 한참 쳐다봤다. 나의 뇌를 읽는 내 폰. 소름 끼치지만 오늘은 좀 고맙네. 참 좋은 서은국 교수님 말씀.*처음엔 Lilys AI 가 영상을 요약해주는게 빠르고 편리하다고 느꼈다. 지금은 쓰지 않는다. 피상적인 요약이 아니라 내가 꽂히는 대목이 진짜 배움이니까. 빠르고 편하게 들어온 정보는 빠르고 쉽게 잊혀진다(#학습과학). AI와 점점 사이가 안 좋아지는 나. [불행이 사라져도 행복은 오지 않는다.] - 우리를 불행하게 만드는 요소를 제거하면 행복해질거라 생각했으나 연구에 의하면 불행한 경험과 긍정적인 경험은 완전히 분리된 독립적인..
2024.09.06 -
The Metacognition Evolution
[Thinking About Thinking]을 확인하는 일 - 수학 문제에서 작업을 보여주면 부분 학점을 주거나 반성적 글쓰기를 할당하여 학습자의 메타인지 과정을 활용하는 것 [The Death of the Essay ]- 콘텐츠에서 프로세스로, 제품에서 여정으로의 초점의 변화는 교육자가 평가에 접근하는 방식을 재편해야 함. - AI는 순전히 전달 가능한 것을 평가하는 것에서 쓰기를 프로세스, 워크플로, 행동으로 평가하는 것으로의 전환을 강조. - 세련된 에세이가 아니라 AI 튜터 상호작용을 포함한 학생의 전체 복습 기록인 과제 : 이 기록은 학생들의 발견과 반복 과정에 대한 창을 제공하여 학습의 지저분하고 비선형적인 현실을 드러낸다. 이는 학습이 실제로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확인하는 접근 방식...
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