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nking Classroom
2025. 3. 23. 17:06ㆍ학습과학
[1] 학생 노릇(Studenting)
- "Studenting" 이라는 개념을 통해 학생들이 단순히 학습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게임화'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즉, 진정한 이해와 학습보다는 과제 완수나 성적을 위한 전략적 행동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 숙제에 있어서 학생들의 접근 방식이 채점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일부 학생들은 스스로 하거나 도움을 받지만, 다른 학생들은 부정행위를 하거나 아예 하지 않는 등 다양한 행동을 보인다.
- 문제 해결("You try one") 상황에서는 진정한 이해와 적용을 기반으로 한 "추론(Reasoning)"을 하는 학생이 있는 반면, "모방(Mimicking)", "지연(Stalling)", "가짜로 하기(Faking)" 등 진정한 학습 없이 결과물만 만들어내는 전략을 사용하는 학생들이 있음을 보여준다.
- 교사들은 학생들의 이러한 다양한 행동 패턴을 인식하고, 진정한 학습과 이해를 촉진하는 교육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2] 눈에 보이는 무작위 그룹(Visibly Random Groups)
- 무작위로 그룹을 구성하는 방식이 전통적인 전략적 그룹화보다 여러 교육적, 사회적 이점을 가진다.
- 이 방식의 핵심 요소:
- 학생들이 무작위성을 직접 볼 수 있어야 함
- 교사가 배정하고 학생이 선택하지 않음
- 3명이 이상적인 그룹 크기
- 언제든지 도입 가능하고 매일 반복할 것을 권장
- 주요 이점:
- 학생들이 모든 구성원과 협력하는 법을 배움
- 사회적 장벽 제거
- 학생들 간 지식의 자유로운 이동
- 교사 의존도 감소
- 학생들 간의 협력 증가
- 학습 참여도 향상
- 수업에 대한 열정 증가(심지어 좋아하지 않는 과목에서도)
'학습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람직한 어려움 (0) | 2025.03.29 |
---|---|
Teacher Tactics(수업 전략) (2) | 2025.03.28 |
교사가 학생의 사고를 대신하지 않는 법 (0) | 2025.03.13 |
인지과부하(Cognitive Overload) (0) | 2025.03.08 |
Read Aloud + Drafting Process (0) | 2025.02.23 |